문제의 원인
한글은 영어와 같은 언어와 달리 조합형 언어이기 때문에 글자를 입력할 때 조합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글자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글 입력 시 몇 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전
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려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사용자는 키보드로 'ㅇ'
- 'ㅏ'
- 'ㄴ'
- 'ㅈ'
- 'ㅓ'
- 'ㄴ'
순으로 총 6번을 입력할 것이다. 설명상 편의를 위해 'ㅇ'(1)
- 'ㅏ'(2)
- 'ㄴ'(3)
- 'ㅈ'(4)
- 'ㅓ'(5)
- 'ㄴ'(6)
으로 인덱싱을 매겨보자.
컴퓨터 입장에서는 2번째 입력까지는 아
라는 글자 조합이 완성된 상태이다. 여기서 3번째 ㄴ
이 들어왔을 때 ㄴ
을 현재 글자(아
)의 받침(종성)으로 간주할 것인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간주할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우선 임시로 ㄴ
을 받침으로 넣어두고(안
), 4번째 글자의 입력에 따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게 된다.
4번째 글자는 ㅈ
이다. 이로써 3번째 글자인 ㄴ
은 받침으로 처리하는 것은 확정되었다. 만약 ㅈ
이 아닌 모음이 입력되었다면 안
에서 ㄴ
은 받침이 아닌,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처리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ㅈ
은 ㄴ
과 결합하여 ㄵ
이라는 받침으로 처리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4번째 입력까지도 앉
일지, 안ㅈ
일지 알 수 없는 상태이며 5번째 글자의 종류에 의존적이게 된다. 자음이 온다면 앉
으로, 모음이 온다면 안ㅈ
로 처리될 것이다.
5번째 입력으로 모음인 ㅓ
을 받음으로써 비로소 4번째 글자ㅈ
은 첫 글자의 ㄵ
받침이 아닌 다음 글자의 초성(안저
)으로서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글은 입력 당시에는 글자의 조합을 확신할 수 없으며, 뒤따르는 글자 입력에 의존적 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키보드에 있는 자판의 수보다 입력해야하는 글자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IME(Input Method Editor) 라고 한다.
이로 인한 현상
IME 문제로 인하여 Vue(자바스크립트)에서는 아래와 같은 2가지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1. 글자의 조합이 완성되기 전까지 JS에 반영되지 않음
Vue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바인딩 디렉티브 v-model
을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위에서 살펴본 사례처럼 4번째 입력(ㅈ
)까지도 조합을 확신할 수 없다. 이처럼 v-model
에서는 조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글자를 반영하지 않으며, 5번째 입력이 들어와 첫 글자가 확정되는 순간에야 비로소 글자를 반영하게 된다.
위 영상에서 보다시피 앉
을 입력할 때까지도 글자의 조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데이터가 화면에 반영되지 않는다. 5번째 글자인 ㅓ
입력되는 순간에 비로소 화면에 반영된다.
2. maxlength
속성에서 마지막 글자가 넘침
2번째 현상은 현재 입력 중인 글자(=조합이 확정되지 않는 글자)는 length
로 카운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때문에 input
태그에서 maxlength
값을 설정해놓으면 마지막 한 글자가 넘쳐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해당 input
의 focus
가 해제되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버그라고 느낄 여지가 있다.
위 영상에서 input
태그에 maxlength=2
속성을 설정해놓았다. 따라서 정확히 2글자만 입력되기를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3글자가 입력되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이 현상의 원인이 IME 의 영향도 있지만, 구글링을 해보니 유니코드로 인한 문제일 수도 있자는 블로그 포스팅을 찾을 수 있었다. 알파벳과 같은 영어 문자는 유니코드상에서 1바이트로 처리되지만, 한글과 같은 복합 문자는 2바이트로 처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결방법
위 2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v-model
디렉티브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이벤트를 받아 처리해야만 한다. 이는 내가 예전에 작성한 포스팅에서 다룬 적이 있다. 당시에는 modelValue
를 props
로 받고, update:modelValue
를 emit
하는 방식으로 처리했었다.
이 방법도 여전히 유효하지만 이번에는 Vue
의 3.4
버전부터 제공되는 defineModel
을 사용하여 해결해보자.
const model = defineModel<string>({ default: "" })
공식문서의 설명에 따르면 "v-model
을 통해 사용될 수 있는 양방향 바인딩 prop
을 선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이 매크로는 모델 prop
과 해당하는 값 업데이트 이벤트를 선언합니다." 라고 한다.
즉 번거롭게 prop
과 emit
을 선언할 필요 없이, model
변수를 직접 조작하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내려온 v-model
이 자동으로 반영된다는 것이다.
소스 코드
// Parent.vue
<script setup lang="ts">
const MAX_LENGTH = 2;
const msg = ref("")
</script>
<template>
<MyInput v-model="msg" />
<p>{{msg.length}} / {{MAX_LENGTH}}</p>
<h1>{{msg}}</h1>
</template>
// MyInput.vue
<script setup lang="ts">
const model = defineModel<string>({default : ""})
const handleInput = (e : Event) => {
const newValue = e.target!.value
model.value = newValue;
}
const handleSubmit = () => {
alert(model.value)
}
</script>
<template>
<form @submit.prevent=handleSubmit>
<input :value="model" @input="handleInput($event)" />
<button type="submit">Submit</button>
</form>
</template>
이렇게 하면 첫 번째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두 번째 문제였던 maxlength
속성에서 마지막 글자가 넘침 현상은 여전히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watch
를 사용하여 model
문자열의 길이를 체크하고, 제한 길이를 초과할 경우 substring
함수를 사용하여 자르면 된다.
소스 코드
// MyInput.vue
<script setup lang="ts">
const model = defineModel<string>({default : ""})
const attrs = useAttrs();
const MAX_LENGTH = Number(attrs.maxlength ?? Infinity)
const handleInput = (e : Event) => {
const newValue = e.target!.value
model.value = newValue;
}
const handleSubmit = () => {
alert(model.value)
}
watch(model, ()=>{
if(!model.value) return;
if(model.value.length > MAX_LENGTH){
model.value = model.value.substring(0,MAX_LENGTH)
}
})
</script>
<template>
<form @submit.prevent=handleSubmit>
<input :value="model" @input="handleInput($event)" :maxlength="MAX_LENGTH" />
<button type="submit">Submit</button>
</form>
</tem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