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4에 작성된 원문을 수정한 버전입니다
반복되는 input
태그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기 위해서는input
태그가 필요한데, 입력 받는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의 집'의 주문 페이지를 살펴보자.
-
이름이나 주소같은 단순한 텍스트 :
<input type="text">
-
문자가 아닌 오직 숫자만 입력받을 경우(상품 수량)
<input type="number">
-
전화번호 형식
<input type="tel">
-
이메일 형식
<input type="email">
이처럼 같은
input
태그라도 각각의 특성과 수행해야 될 기능이 다르다.
이름이나 주소의 경우에는 빈 문자열이어서는 안된다거나 최소/최대 글자수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전화번호나 이메일은 유효성 검증을 거쳐야 할 수도 있다.type
속성으로으로도 어느정도 해결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기능을 가진input
태그들이 프로젝트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다면 컴포넌트로 분리시켜 공통화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각<Input>
컴포넌트별로 특정 기능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커스텀 컴포넌트화 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살펴볼 건데, 그 전에v-model
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v-model
의 작동원리
vue의 v-model
은 양방향 데이터바인딩(two-way binding) 기능을 제공하는 directive
이다.
양방향 바인딩이란, 화면상에 보이는 <input>
에 데이터를 입력(수정)할 때마다 Javascript
에서도 실시간으로 변화를 감지하여 값이 업데이트 되는 기능이다.
SPA 라이브러리를 vue로 처음 입문한 사람에게는 v-model
이 왜 편리한 기능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react를 접한 뒤에 v-model
을 만난다면 그 편리함에 감탄할 것이다. 왜냐하면 react에서 양방향 바인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nput>
태그에 다음와 같이 작성해야만 했다.
react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const onInputChange = e => {
setText(e.target.value)
}
...
return <input onChange={onInputChange} value={text} />
하지만 이를 vue에서 v-model
로 구현한다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vue
// <template>
<input v-model="text">
// <script setup>
const text = ref('');
두 코드 사이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react의 경우에 <input>
태그에 onChange
와 value
2개가 필요한 반면에, vue에서는 v-model
단 하나만 필요하다는 점이다. 단순히 생각해보더라도 v-model
이 onChange
와 value
2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사실은 vue도 v-model
을 사용하지 않고 양방향 바인딩을 구현해보자면 아래와 같이 구현해야 했다.
vue
// <template>
<input @change="onChangeInput" :value="text">
// <script setup>
const text = ref('');
const onChangeInput = (e) => {
text.value = e.target.value
}
하지만 매번 두 개의 속성을 적어주는 건 성가신 일이기 때문에 이를 하나로 합쳐서 v-model
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vue에서는 이처럼 tag 레벨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들은 하나의 공통 함수로 묶게 되었는데 이게 바로 vue의 directive
이다.
필자 개인의견 :
v-model
이 react와 vue가 추구하는 방향성의 다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react는 코드 뒷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최대한 개발자에게 숨기지 않고 드러내려는 반면, vue는 '이 기능은 라이브러리에서 책임질테니,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는 신경쓰지 마'라고 말하는 인상이 들었다.
커스텀 컴포넌트로 만들기
<input>
을 컴포넌트화 시켜서 부모-자식간의 관계가 형성되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v-model
를 별도로 연결시켜주어야만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방법은 어렵지 않다. 부모 컴포넌트 입장에서는 컴포넌트화하기 이전 코드와 동일하게 v-model="data"
를 걸어주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만 하면 자식 컴포넌트의 props
에서 자동으로 modelValue
라는 (미리 정해진)이름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자식 컴포넌트에서는 별도로 처리해줘야 한다. v-model="modelValue"
로 받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아쉽게도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v-model
은 @input="(e) => modelValue = e.target.value"
가 생략되어있는데, vue에서 자식 컴포넌트가 받은 props
값(여기서는 modelValue
)의 직접 변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식 컴포넌트에서는 input 이벤트가 발생하면 부모 컴포넌트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자식컴포넌트가 부모컴포넌트에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싶을 때 호출하는emit
함수를 통해
"modelValue
의 값이 e.target.value
로 변했다"
는 정보만 전달하고, 실질적인 변경된 값을 반영하는 과정은 부모 컴포넌트에서 진행되야 한다. 다행히도 그 과정은 이미 update:modelValue
라는 이벤트로 미리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구현할 필요는 없다.
MainPage.vue (parent)
<template>
<div>
<MyInput v-model="num" />
<p>text : {{ num }}</p>
</div>
</template>
<script setup>
import { ref } from "vue";
import MyInput from "@/components/MyInput.vue";
const num = ref("Hello");
</script>
MyInput.vue (child)
<template>
<!-- 불가능 -->
<!-- <input v-model="modelValue" /> -->
<input :value="modelValue" @input="onInput" />
</template>
<script setup>
const props = defineProps({
modelValue: String,
});
const emit = defineEmits(["update:modelValue"]);
const onInput = (e) => {
const newValue = e.target.value;
emit("update:modelValue", newValue);
};
</script>
구현
다음 포스팅에서 'input 종류별로 기능 적용하기'를 소개하겠습니다